2010년 개봉한 류승완 감독의 영화 부당거래는 그 어떤 스릴러보다도 현실적이고, 그 어떤 범죄영화보다도 치밀한 구성을 자랑하는 작품이다. 각본은 악마를 보았다, 신세계 등을 집필한 박훈정 작가가 맡았고, 황정민, 류승범, 유해진 등 쟁쟁한 연기파 배우들이 집합해 스크린을 압도한다. 부패한 시스템 안에서 정의와 진실이 어떻게 왜곡되고 거래되는지를 집요하게 파고드는 이 영화는, 현실의 불편한 진실을 드러내며 보는 이의 가슴을 서늘하게 만든다. 단순한 범죄 해결을 넘어선, 인간 욕망과 권력, 도덕과 타락의 충돌 속에서 관객은 진정한 정의가 무엇인가를 고민하게 된다.
소개: 현실보다 더 현실 같은 이야기
부당거래는 미성년자 연쇄살인 사건의 해결을 둘러싼 경찰과 검찰, 스폰서 기업의 얽히고설킨 이해관계를 그린다. 실적에 목마른 경찰은 무리한 조작 수사를 벌이고, 검찰은 이를 빌미로 경찰을 견제하며 자신들의 입지를 확보하려 한다. 언론은 이 모든 과정을 무비판적으로 받아쓰며, 정의는 오히려 권력의 논리에 밀려 변질되고 만다. 현실에서 실제로 벌어졌을 법한 사건 전개와 등장인물들의 행동은 영화임에도 불구하고 관객들에게 묘한 불쾌감을 준다. 그 불쾌함이야말로 영화가 던지는 강력한 메시지다. ‘정의는 존재하는가, 아니 존재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을 통해 영화는 우리 사회가 진정으로 추구해야 할 가치가 무엇인지 되묻는다.
줄거리: 조작과 타협 속 진실은 사라진다
연쇄살인 사건을 수사하던 광역수사대 반장 최철기(황정민 분)는 압박을 견디지 못하고 실적을 위해 사건을 조작한다. 무고한 시민을 범인으로 내몰고, 언론을 이용해 대중의 분노를 잠재운다. 그러나 이를 간파한 검사 주양(류승범 분)은 경찰을 견제하려 들며, 내부 정보까지 흘리며 정국을 흔든다. 한편 스폰서 기업과의 유착 관계도 서서히 수면 위로 드러나며, 부패는 점점 더 깊은 수렁으로 빠져든다. 결정적으로 스폰서 회장의 죽음은 이 모든 관계를 뒤흔드는 촉매가 되고, 인물들은 서로를 배신하고 거래하며 생존을 모색한다. 대우(유해진 분)의 죽음은 그들의 탐욕과 무능, 그리고 제도적 무관심이 만들어낸 참극으로 그려진다. 끝내 최철기는 죄책감과 패배감 속에 무너지고, 주양 역시 모든 것을 얻은 듯하지만 공허함에 휩싸인다.
느낀점: 권력은 부패하고, 인간은 무력하다
부당거래는 단순한 범죄극의 틀을 넘어서, 우리 사회 전반에 퍼진 구조적 부패와 비리를 고발한다. 법과 정의는 명목일 뿐, 결국 누가 더 큰 힘을 가졌는지가 승패를 가른다. 황정민은 감정선이 복잡한 최철기를 통해 인간의 나약함과 야망, 그리고 자기기만을 섬세하게 표현해낸다. 류승범은 비열하면서도 치밀한 주양 검사를 통해 제도권 권력의 냉혹한 현실을 드러낸다. 영화는 엔딩을 향해 갈수록 관객에게 점점 더 불편한 질문을 던진다. 모든 잘못을 알면서도 그것을 감당하지 못하고 방조하는 인간, 그리고 그 방조가 곧 공범이 되는 사회. 영화가 끝난 뒤에도 긴 여운은 쉽게 가시지 않는다. 보는 이로 하여금 '이 사회에 진정한 정의는 존재하는가?'라는 깊은 회의에 빠지게 만드는, 강력한 문제작이다.
감상팁: 누가 가장 인간적인가를 보라
이 영화를 온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각 인물이 가진 딜레마에 집중해보는 것이 중요하다. 단순히 누가 더 나쁘냐를 따지기보다는, 그들이 왜 그런 선택을 할 수밖에 없었는지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최철기는 악당인가, 아니면 그저 구조 안에서 생존하려 했던 비극적인 인간인가? 주양은 정의를 위하는가, 아니면 자신의 야망을 위해 정의를 도구로 삼은 것인가? 각각의 선택이 어떻게 파국을 부르고, 또 그 결과가 누구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따라가다 보면, 영화가 진정 말하고자 하는 바를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미술, 세트, 대사 하나하나에 담긴 디테일은 극의 몰입감을 높여주며, 배우들의 호흡 역시 빛을 발한다. 한순간도 긴장을 놓지 않고 봐야 하는 영화다. 특히 마지막 장면에서 터지는 감정은 단지 캐릭터의 고통이 아니라, 우리 사회 전체의 초상처럼 느껴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