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사는 시대는 과거의 진실 위에 세워져 있다. 영화 1987은 단지 하나의 사건을 다룬 스릴러도, 역사극도 아니다. 그것은 우리가 마주했던 피와 눈물, 그리고 정의에 대한 갈망의 기록이다.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분수령이 되었던 1987년 6월 항쟁의 시작점이자, 불씨였던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을 중심으로, 이 영화는 진실을 묻으려는 권력과 그에 맞선 사람들의 용기를 사실감 있게 그려낸다. 단순히 과거를 재현한 것이 아니라, 오늘의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역사의 질문을 던지는 작품이다. "책상을 탁 치니 억 하고 죽었다"는 어처구니없는 거짓이 통하던 시절, 진실을 말하고자 했던 이들의 이야기 속으로 들어가 보자.
소개: 불의에 맞선 작은 용기들이 만든 큰 변화
1987년 초, 서울대생 박종철이 남영동 대공분실에서 조사를 받던 중 사망한다. 경찰은 단순 쇼크사라며 사건을 축소하려 했고, "책상을 탁 치니 억 하고 죽었다"는 희대의 거짓 해명은 오히려 여론의 분노에 기름을 붓는다. 영화는 이 지점에서 출발해, 박종철의 죽음을 은폐하려는 권력의 움직임과 이를 저지하려는 검사, 기자, 교수, 학생 등 평범한 시민들의 연대를 다층적으로 그려낸다. 각각의 인물들은 사회라는 큰 틀 안에서 자신만의 방식으로 정의를 좇는다. 누군가는 기록으로, 누군가는 행동으로, 누군가는 글과 목소리로 진실을 밝히기 위해 싸운다. 그들의 용기가 모여 마침내 역사라는 거대한 수레바퀴를 움직이는 힘이 되었음을 영화는 말하고 있다.
줄거리: 은폐하려는 자들과 밝혀내려는 자들의 팽팽한 대결
검찰과 경찰, 그리고 안기부까지 얽힌 박종철 사건의 은폐 시도는 정권의 유지와 직결되는 문제였다. 하지만 채한열 검사를 비롯한 소수의 검사들, 진실을 좇는 기자 윤상삼, 그리고 민주화운동의 상징 같은 인물 김정남까지, 이들은 서로 교차하며 진실을 향해 나아간다. 이 영화의 전개는 단순히 시간의 흐름을 따르지 않는다. 다양한 인물들의 시선으로 한 사건을 입체적으로 비추며, 숨겨진 이야기들을 하나씩 밝혀낸다. 물리적인 고문, 보도 통제, 은폐된 기록 등 권력의 실체를 날것으로 보여주는 동시에, 그 안에서 점점 커져가는 진실의 목소리는 보는 이로 하여금 거대한 감정의 소용돌이에 휘말리게 한다. 정권의 압박 속에서도 무너지지 않는 신념과 사람들의 연결이 만들어내는 변화는, 단순한 영화적 장치가 아닌 우리 현대사의 실제 기록이다.
해석: 지금 우리에게 던지는 무거운 질문
1987은 단지 과거의 비극을 복기하는 영화가 아니다. 이 작품은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묻는다. "진실 앞에서 우리는 어떤 선택을 할 것인가?" 영화 속 인물들은 누구나 평범했다. 학생이었고, 검사였으며, 가족을 지키려는 사람이었다. 하지만 그들은 눈앞의 불의를 외면하지 않았고, 그 작은 용기들이 모여 결국 세상을 움직였다. 지금 우리가 당연하게 누리고 있는 자유와 권리는 누군가의 희생 위에 있다. 1987은 감동 그 자체일 뿐 아니라, 우리가 다시는 잊지 말아야 할 진실의 무게를 되새기게 하는 시대의 거울이다. 그리고 영화의 마지막, 울려 퍼지는 합창은 단지 고인의 추모곡이 아니라, 앞으로도 계속 이어져야 할 민주주의의 노래이기도 하다.
또 다른 한편으로 해석하게 된다면 1987은 과거의 한 해를 다루는 영화이지만, 그 속에 담긴 메시지는 오늘날 우리 삶과도 깊이 연결되어 있다. 권력의 폭력, 언론의 자유, 개인의 양심, 시민의 연대라는 키워드는 시대를 불문하고 여전히 유효하다. 영화는 특정 인물의 영웅담이 아니다. 각기 다른 사람들이 자신만의 방식으로 정의를 위해 싸우는 이야기다. 이들의 모습은 우리에게 묻는다. 지금 당신은 어떤 선택을 하겠느냐고. 우리가 이 영화를 통해 기억해야 할 것은 단지 박종철, 이한열 같은 이름만이 아니다. 바로, 불의를 외면하지 않은 '그 시대의 나'들을 기억하는 것이다. 영화 1987은 그래서 단순한 회고가 아니라,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가 반드시 가져야 할 질문이며, 태도다.
시청팁: 감정이 아닌 사실로 기억되는 이야기
1987을 볼 때 가장 중요한 것은 감정에 휘둘리기보다 사실을 직시하는 자세다. 영화 곳곳에 숨겨진 역사적 고증은 단순한 디테일을 넘어서, 실제 있었던 인물과 사건을 상기시킨다. 극의 리듬은 빠르지 않지만 그 무게는 결코 가볍지 않다. 감정이 격해지는 장면에서는 실제 영상이나 기록을 떠올리며, 당시에 대한 이해를 함께 가져간다면 영화는 더욱 입체적으로 다가온다. 청춘의 얼굴이 얼마나 뜨겁고도 치열했는지를 보여주는 작품, 1987은 반드시 다시 보고, 기억하고, 되새겨야 할 영화다.